DANIEL SHIN
  • HOME
  • PORTFOLIO
  • ABOUT
    • BIOGRAPHY
    • CLIENT
    • HISTORY
  • CONTACT

PAPER GARDEN

존재의 직관, 피어나는 실존
Intuition of Existence, Blossoming Being
안현정 (미술평론가 · 예술철학박사)


Prologue; 어둠 속의 꽃, 직관의 코드

다니엘 신의 회화는 한밤의 산책길에서 마주친 한 송이 꽃으로부터 다시 시작되었다. 불빛조차 닿지 않는 어두운 길 위에서, 누구의 시선도 닿지 않는 자리에서 묵묵히 피어 있는 작은 꽃. 그것은 연약했지만, 동시에 꺼지지 않는 생명력의 표식이었다. 작가는 그 경험 속에서 예술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근본적 질문에 답을 얻었다. 그는 깨달았다. 예술은 관념이나 이론의 무거운 틀 속에서만 피어나는 것이 아니라, 순간적으로 다가오는 직관적 경험 속에서 진정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눈앞에 피어난 작은 꽃은 그에게 하나의 상징적 언어가 되었다. 꽃은 보이는 동시에 보이지 않고, 화려한 동시에 곧 시드는 존재다. 그러나 바로 그 모순 속에서 삶은 이어지고, 인간은 견디며, 결국 다시 피어난다. 따라서 다니엘 신의 회화는 단순한 시각적 장식이 아니라, 삶을 직관적으로 긍정하는 미학적 선언이다. 그의 화면에서 꽃은 개인적 체험을 넘어, 불완전한 삶을 살아내는 모든 인간 존재를 위한 은유로 자리 잡는다.


꽃과 직관의 언어, 피어남과 실존의 상징

작가의 작업은 처음부터 꽃으로 시작된 것은 아니다. 초기의 체크 패턴 시리즈는 화면의 구조적 리듬을 실험한 단계였다.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격자는 안정된 틀을 제공하는 동시에, 그 안에서 끊임없는 변주와 유동성을 가능케 했다. 이때부터 작가는 ‘질서와 자유의 긴장’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체크는 단지 출발점에 불과했다. 그는 곧 구조적 틀 너머로 생명력을 불어넣는 모티프를 찾아 나섰고, 그 답은 꽃이었다. 꽃은 패턴의 리듬에서 피어난 존재이자, 격자를 뚫고 나오는 생명력의 발현이었다. 그리하여 꽃은 곧 다니엘 신의 작업 세계를 지배하는 핵심 언어가 된다. 특히  시리즈에서 종이는 단순한 재료가 아니라 삶의 은유로 전환된다. 구겨지고 찢기고 다시 붙여진 종이는 인간이 겪는 상처와 불완전성을 닮았다. 그러나 그것들은 모여 하나의 정원이 된다. 정원은 단순한 식물적 풍경이 아니라, 각기 다른 존재들이 어울려 살아가는 공동체적 에너지를 상징한다. 작가는 이를 통해 “약한 개인도 함께할 때 강해진다”는 메시지를 회화적으로 구현한다. 종이가 모여 꽃이 되고, 꽃이 모여 정원이 되듯, 그의 화면은 개별과 전체, 고독과 공존의 역동을 동시에 품는다.

이 지점에서 다니엘 신은 야요이 쿠사마(Yayoi Kusama, 1929~ )의 반복적 점들을 떠올리게 한다. 쿠사마의 점이 강박과 해방의 역설 속에서 무한을 지향한다면, 다니엘 신의 꽃은 불완전성과 긍정의 공존 속에서 피어난다. 또한 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 1965~ )가 나비와 해골을 통해 죽음과 생의 긴장을 전시한 것처럼, 그의 꽃 역시 인간 실존의 이중성을 보여준다. 다만 허스트가 죽음을 직시하는 방식이라면, 신은 삶의 긍정적 에너지를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차별적이다. 더 나아가 그의 꽃은 단지 시각적 기호가 아니라, 관객의 기억과 감정이 투사되는 매개체다. 어떤 이는 위로를, 어떤 이는 두려움을, 또 다른 이는 희망을 발견한다. 꽃이 가진 다층적 상징성은 개인의 삶과 서사를 반영하며, 그 앞에서 관객은 자신만의 ‘피어남’을 직관적으로 떠올리게 된다. 이러한 해석은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1884–1962)의 사유와 공명한다. 바슐라르는 『공간의 시학(The Poetics of Space, 1958)』에서 “집이나 정원은 인간의 상상력을 자라게 하는 내적 공간”이라 말했다. 다니엘 신의 꽃과 정원은 단지 식물이 아니라, 관객의 기억과 감정을 수용하는 상상적 창작 공간으로 기능한다.


디지로그적 화면과 공간미학, 감각과 직관의 결합

다니엘 신의 또 다른 특징은 제작 과정에서 드러난다. 그는 스케치, 종이 조각, 디지털 이미지 변환, 그리고 손으로 다시 그려내는 아날로그 회화의 단계를 오가며 작품을 완성한다. 이는 그가 ‘디지로그(digilog)’라 부르는 방식이다. 디지털의 효율성과 아날로그의 감각을 결합한 이 과정은 단순한 기술의 혼합이 아니라, 직관을 매체적으로 확장하는 실험이다. 디지털은 반복과 변형을 용이하게 만들고, 아날로그는 작가의 신체성과 감정을 기록한다. 이 둘의 교차 속에서 작품은 차갑지도, 완전히 따뜻하지도 않은, 독특한 생명력을 획득한다. 이는 단순히 시각적 효과가 아니라, 감각적 직관을 형식적으로 보증하는 방법론이다. 즉, 그의 회화는 테크놀로지와 감각, 효율과 즉흥이 맞닿는 지점에서 성립한다. 이러한 태도는 허버트 바이어(Herbert Bayer, 1900~1985)의 시도를 연상시킨다. 바이어는 바우하우스에서 시각디자인과 회화를 넘나들며, 기능성과 미학을 통합한 작업을 선보였다. 그러나 바이어가 기능적 조형에 머물렀다면, 다니엘 신은 그 위에 오늘의 시대성과 함께 감정과 실존의 무게를 더한다. 그의 화면은 세련된 시각적 언어를 취하면서도, 그 안에 인간 존재의 흔적을 결코 지우지 않는다.

또한 그의 전시는 단순한 작품 배열이 아니라, 하나의 세계관이다. 향기, 색채, 소리, 동선을 통해 관객은 작품을 ‘본다’기보다 ‘체험한다’. 이는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 1908~1961)의 『지각의 현상학(Phenomenology of Perception, 1945)』과 맞닿는다. 메를로퐁티는 “세계는 감각을 통해 체현된다.”고 말했다. 다니엘 신의 전시는 관객이 오감(五感)을 통해 존재를 새롭게 인식하도록 만든다. 작가의 공간미학은 세련되면서도 직관적이다. 전시장은 ‘작품을 보여주는 곳’이 아니라, ‘피어나는 감정의 장(場)’이다. 관객은 작품 속 꽃과 함께 피어나며, 그 순간 자신의 삶을 긍정하는 체험을 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그의 전시가 단지 감각적 즐거움에 머물지 않고, 감각을 통해 삶의 의미를 다시 사유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다니엘 신의 회화와 공간은 감각적 직관과 실존적 의미가 교차하는 현대적 예술의 장으로 자리 잡는다.



Epilogue ; 깨달음의 연장선, 피어나는 의미

다니엘 신의 현재 작업은 한밤의 꽃에서 비롯된 깨달음의 연장선에 있다. 꽃은 두려움이자 위로이며, 작은 목소리이자 희망의 증거다. 그는 직관 속에서 삶을 긍정하는 힘을 발견했고, 그 힘을 화면과 공간으로 계속 확장해왔다. 꽃은 불완전하고 서툴지만, 그 속에 깃든 순수함은 현대 사회가 잃어버린 진정성을 되살린다. 정원은 각자의 기억과 감정이 모여 다시 피어나는 자리이며, 불완전함과 순수함이 함께 빛나는 공동의 풍경이다. 앞으로 다니엘 신은 감각적이고 세련된 화면 안에서도 여전히 깊은 생의 의미를 탐구할 것이다. 작품들은 단순한 시각적 쾌감을 넘어, 존재를 직관적으로 긍정하는 철학적 장치로 기능한다. 관객은 다니엘 신의 작품 앞에서 이렇게 되새기게 된다. “삶은 끊임없이 피고 지지만, 그 안에서 다시 피어나는 순간이야말로 존재의 진정한 증거이다.”
Epilogue ; 깨달음의 연장선, 피어나는 의미


다니엘 신의 현재 작업은 한밤의 꽃에서 비롯된 깨달음의 연장선에 있다. 꽃은 두려움이자 위로이며, 작은 목소리이자 희망의 증거다. 그는 직관 속에서 삶을 긍정하는 힘을 발견했고, 그 힘을 화면과 공간으로 계속 확장해왔다. 꽃은 불완전하고 서툴지만, 그 속에 깃든 순수함은 현대 사회가 잃어버린 진정성을 되살린다. 정원은 각자의 기억과 감정이 모여 다시 피어나는 자리이며, 불완전함과 순수함이 함께 빛나는 공동의 풍경이다. 앞으로 다니엘 신은 감각적이고 세련된 화면 안에서도 여전히 깊은 생의 의미를 탐구할 것이다. 작품들은 단순한 시각적 쾌감을 넘어, 존재를 직관적으로 긍정하는 철학적 장치로 기능한다. 관객은 다니엘 신의 작품 앞에서 이렇게 되새기게 된다. “삶은 끊임없이 피고 지지만, 그 안에서 다시 피어나는 순간이야말로 존재의 진정한 증거이다.”




존재의 직관, 피어나는 실존
Intuition of Existence, Blossoming Being
안현정 (미술평론가 · 예술철학박사)


다니엘 신의 회화는 ‘직관의 미학’과 ‘긍정의 메시지’ 위에 세워져 있다. 초기에는 체크패턴 시리즈를 통해 화면의 구조와 리듬을 실험했다. 그러나 이는 단지 출발점이었다. 체크의 격자 안에서 발견한 유동성과 반복은 이후 꽃, 정원, 유토피아적 공간으로 확장되는 초기 구조가 되었던 것이다. 작업은 이제 낙서 같은 즉흥적 선, 반복과 변주 속에서 피어나는 꽃으로 집약된다. 꽃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자리에서 피고 지는 생명력의 은유다. Paper Garden 시리즈에서 종이는 구겨지고 붙여진 흔적 속에서 꽃잎으로 변모하며, 연약하지만 모이면 강해지는 공동의 정원을 이룬다. 이는 “약한 개인도 함께할 때 강해진다”는 신념이자, 불완전함과 다름의 집합이 만들어내는 힘을 시각화한 것이다. 작업 과정은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넘나드는 디지로그적 구조다. 스케치와 종이 조각, 디지털 변환과 수작업의 회화를 오가며, 디자인·건축·패션에서 얻은 감각적 관찰이 화면에 반영된다. 전시는 단순한 작품의 나열이 아니라 향기·소리·색채가 어우러진 ‘피어나는 감정의 공간’으로 연출된다.


미국 Leftbank Arts 활동, 파리·홍콩·시드니 아트페어 참여, ULKIN·무신사와의 협업은 그의 언어를 국제적으로 확장시켰다. 특히 해외 관객들이 낯선 한국 작가의 작품에 직관적으로 반응하는 순간, 그는 예술의 보편적 감수성을 확인했다. 앞으로 다니엘 신은 더 많은 감정과 이야기를 꽃의 언어로 펼쳐낼 것이다. 꽃은 두려움이자 위로이고, 작은 목소리이자 희망의 증거다. 그의 정원은 각자의 기억과 감정이 피어나는 자리이며, 불완전함과 순수함이 함께 빛나는 공동의 실존적 풍경이다.


Intuition of Existence, Blossoming Being
Ahn Hyunjung (Art Critic · Ph.D. in Aesthetics)


Daniel Shin’s painting is grounded in the aesthetics of intuitionand the message of optimism. In his early work, the Check Patternseries explored the structure and rhythm of the pictorial surface. Yet this was only a point of departure. The flow and repetition discovered within the grid became the formative framework that later expanded into flowers, gardens, and utopian spaces.


His work has since evolved into images distilled in doodle-like spontaneity, where repetition and variation blossom into flowers. These flowers are not mere decorations but metaphors for life itself—blooming and fading in unseen places. In the Paper Gardenseries, crumpled and collaged paper transforms into petals, forming a collective garden. Fragile on their own, together they embody the conviction that “even the weak can grow strong in unity,” a visualization of strength born from imperfection and difference. Shin’s process moves between digital and analog in a digilog structure: from sketches and paper fragments to digital transformation and hand-painted realization. His sensitivity, shaped by design, architecture, and fashion, is reflected in the visual composition. Exhibitions are conceived not as mere displays but as immersive worlds—“spaces of blossoming emotions”where scent, sound, and color intertwine.


His experience with Leftbank Arts in the United States, participation in art fairs in Paris, Hong Kong, and Sydney, and collaborations with brands such as ULKIN and MUSINSA have expanded his artistic language internationally. In particular, the moments when overseas audiences respond intuitively to the works of an unfamiliar Korean artist confirmed for him the universal resonance of art. Looking ahead, Shin seeks to unfold more emotions and narratives through the language of flowers. For him, flowers are both fear and consolation, a quiet voice and a testimony of hope. His garden is a place where personal memories and emotions bloom together—a shared existential landscape where imperfection and innocence radiate side by side.

작업노트 (KOR) 

나의 작업은 오랜 시간 ‘꽃’이라는 상징 안에서 머물러 왔다. 꽃은 작고 연약하지만, 끊임없이 피어나고 다시 살아나며, 때로는 바위 틈을 뚫고 올라오는 힘을 가진다. 나는 그 생명력과 복원력에 주목한다.
​
종이라는 가장 가벼운 재료로부터 시작된 나의 조형 실험은, 감정을 형태로 바꾸는 여정이었다. 납작한 표면 위에 스며드는 감정의 결, 구겨지고 다시 펼쳐지는 흔적들, 그리고 그것이 만들어내는 하나의 생명체 같은 꽃들. 그것이 바로 Paper Garden 시리즈의 출발점이다.
​
이 시리즈에서 중요한 건 ‘형태’이다. 선명하고 매끄러운 완성도보다는, 마치 어린아이가 종이를 오려 만든 듯한 서투름. 비뚤고 어설프지만 오히려 그 안에서만 느껴지는 솔직함과 순수함이 있다. 나는 그 불완전함 안에 담긴 진실한 감정을 믿는다. 꽃은 항상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그런 불완전함이야말로 인간적인 아름다움의 증거라고 생각한다.
​
어떤 꽃은 두려움을 닮았고, 어떤 꽃은 아주 작게 말 걸 듯 피어난다. 그것들은 내 마음속에 잠들어 있던 어떤 기억, 어떤 말, 어떤 순간과 맞닿아 있다. 말로 다 하지 못한 감정이 형상이 되었고, 꽃이 되었다.
​
전시는 언제나 ‘피어나는 감정의 순간’을 나누기 위한 공간이다. 벽면에 놓이는 꽃, 손바닥 위의 작은 조형, 그리고 한 송이 아래에 놓인 짧은 문장들. 모든 것은 조용하게 말을 건다.
​
"이 꽃은, 제가 다시 살아보기로 한 날 피어난 것입니다."
그 문장은, 관객의 마음에도 조용히 번지기를 바란다.
​
나는 오늘도 작업실에서 종이를 꺾고, 색을 고르고, 다시 붙인다.
연약한 것이 얼마나 강한지,작은 것이 얼마나 큰 위로가 되는지를.
다니엘 신

NOTE (ENG)

For a long time, my work has lived within the symbol of the flower. Small and delicate, yet endlessly blooming and reborn—sometimes even pushing through cracks in stone—flowers embody both vitality and resilience. That quiet strength is what draws me in.
​
My sculptural journey began with paper, the lightest and most fragile of materials. From there, I started shaping emotions—traces that soak into flat surfaces, creases that form and unfold, eventually becoming flower-like beings with lives of their own. This is where the Paper Garden series took root.
​
What matters most in this series is form. Rather than precision or polish, I embrace clumsy, childlike cuts—forms that feel imperfect, even awkward, but speak with raw honesty and purity. I believe in the truth found within that imperfection. A flower doesn't need to be flawless to be beautiful. In fact, I believe that very imperfection is what makes it human, and real.
​
Some flowers resemble fear; others bloom so quietly, they seem to whisper. Each one is tied to a memory, a word unspoken, or a fragile moment that once lived within me. What I could not say in words became shape. Became flower.
​
To me, an exhibition is always a space for sharing these moments—moments when something begins to bloom. A flower pinned to the wall, a tiny sculpture cradled in the palm, a single sentence beneath a bloom—all these things speak gently.
​
“This flower bloomed on the day I decided to live again.”That message, I hope, will quietly echo in the hearts of those who see it.
​
And so today, I return to my studio.I fold paper. I choose color. I begin again.

To remember how strong fragility can be,and how something small can hold immense comfort.
-Daniel Shin

작업노트 (KOR) 

작업은 ‘꽃’이라는 도상을 반복적으로 표현하며, 가장 가볍고 일상적인 재료인 ‘종이’를 매개로 감정의 구조와 복원의 시간을 시각화하는 조형적 기록이다. 나는 스스로를 특별하지 않은 사람이라 말한다. 눈에 띄는 서사나 격렬한 사건 없이, 조용하고 평범한 감정의 흐름 속에서 살아온 삶. 그러나 바로 그 일상의 결 안에서 감정은 접히고 찢기며, 다시 붙여지고 피어나는 과정을 거친다. 이 조용한 감정의 운동성을 주의 깊게 들여다보며, 그것을 반복 가능한 형태로 남기려는 의지에서 작업을 시작했다. 


 종이라는 재료는 이러한 감정의 흐름과 매우 닮아 있다. 쉽게 구겨지고 찢어지며, 습기에 약해 형태를 잃기 쉬운 물질. 하지만 반복해서 접히고, 결이 생기고, 구조가 세워지는 과정 속에서 다시 살아난다.이 지점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종이라는 연약한 재료에 감정의 시간과 인간의 복원력을 중첩시켜, 다시 피어나는 구조로의 변환을 시도한다. 이러한 조형 언어는 단지 시각적 아름다움이나 자연의 형상 재현을 넘어서, 감정 그 자체를 구성하고 구조화하는 일에 가깝다. 


 내가 만드는 종이꽃은 정교하고 반복적인 손의 행위에서 비롯된다. 자르고 접고, 조립하고 물성을 다듬는 시간은 곧 자기 감정을 스스로 읽고 복원하는 ‘감정적 매핑’의 과정이 된다. 그리고 이 조형물은 전시 공간 안에서 또 다른 맥락을 부여 받는다. 단순히 조형을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시선의 높이, 조명의 각도, 꽃의 배치 간격 등을 통해 ‘감정이 살아가는 장소’를 구성한다. 그 결과, 종이꽃은 더 이상 조형물이 아니라, 관람자와 감정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감각적 풍경이 된다. 


특히 중요한 점은, 이 작업이 개인의 서사에서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관람자의 삶과 감정을 투사할 수 있는 여백을 충분히 품고 있다는 것이다. 무너졌지만 다시 피어나는 감정, 특별하지 않지만 누구나 겪는 마음의 반복들. 이것을 말없이 반복적으로 표현한다. 작업은 조용하지만, 그 조용함 속에서 오히려 더 깊은 울림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작업은 격정적인 메시지를 주장하지 않는다. 대신 반복, 복원, 감정, 감각, 생명력이라는 단어를 조용히 나열한다. 삶은 때때로 찢기고 무너지지만, 그 자리에서 다시 피어나는 생명성과 감정의 지속 가능성은 결코 사소하지 않다. 

나의 종이꽃은 바로 그 지점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작업은 조형의 외피를 빌려 감정의 내부를 직조하는 일이다. 그리고 그 섬세한 내부의 언어는 결국, 삶의 본질에 가까운 질문으로 이어진다.
다니엘 신

NOTE (ENG)

My artistic practice revolves around the repeated depiction of the motif of “flowers,” rendered through the most fragile and mundane of materials: paper. Through this, I aim to create sculptural records that visualize emotional structures and the temporality of restoration.

I describe myself as an ordinary person—someone whose life has been marked not by dramatic episodes, but by a quiet and consistent flow of emotions. Within this subtle rhythm of everyday life, however, emotions are folded, torn, mended, and made to bloom again. My work begins with the intention of observing this silent movement of feeling and leaving behind a repeatable form of it.
Paper, as a material, resonates deeply with the nature of such emotions. It is easily crumpled, torn, and vulnerable to moisture—easily losing its form. And yet, through repeated folding, the emergence of grain, and the formation of structure, it comes back to life. I began focusing on this very moment: the transformation of paper—a delicate material—into a structure of rebirth, layered with emotional time and human resilience.

In this sense, my sculptural language seeks not merely visual beauty or the reproduction of floral forms from nature. Rather, it approaches the act of composing and structuring emotion itself.

The paper flowers I create are born out of meticulous, repetitive manual labor—cutting, folding, assembling, and refining the materiality. This process becomes an act of emotional mapping, in which I read and reconstruct my own feelings through gesture. Once situated in the exhibition space, these sculptures are imbued with an entirely new context. I do not merely install objects; I construct a “place where emotions live”—through careful attention to the viewer’s eye level, lighting angles, and spatial intervals between each flower. Consequently, the paper flowers cease to be mere forms—they become a sensorial landscape that engages the viewer emotionally.

Crucially, although these works originate from my personal narrative, they offer ample space for the projection of the viewer’s own life and emotional experience. Collapsed but blooming again, fragile yet persistent—these works quietly express the universal cycles of emotion. Their silence is deliberate, and within that silence, I hope to create a deeper resonance.

My practice does not assert itself with dramatic statements. Instead, it quietly enumerates words such as repetition, restoration, emotion, sensation, and vitality. Life at times collapses and fragments, but the possibility of blooming anew—of emotional sustainability—is never trivial. My paper flowers are a testament to that reality.

In essence, my work borrows the exteriority of sculpture to weave an interiority of emotion. That delicate internal language ultimately leads us to questions that lie close to the essence of life itself.
-Daniel Shin

구겨진 종이 위의 드로잉

작업노트 (KOR)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에서 영감을 받아 현대의 감정 부재와 소외에 대한 철학적인 사색을 담고 있다. 구겨진 종이는 잊혀지고 버려진 상태를 자연스럽게 반영하는 미적 표현이다. 드로잉은 마치 아이가 그린 듯한 순수함을 간직하고 있으며, 이것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철학에서 감정의 소외와 불안, 혼란 속에서도 간직한 아름다움을 찾아낼 수 있는 희망을 상징한다. 감정을 놓치지 않고 드로잉을 통해 표현되면서, 현대의 개인화와 물리적 소통의 상실된 감정 교류에 대한 미학적 질문을 던져본다. 

작품으로 표현된 종이를 다시 평탄하게 펴내는 행위를 통해 미의 아름다움이 소외와 부재된 감정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찾아낼 수 있는지를 상징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종이의 구겨진 흔적과 다시펴진 아름다움은 동시대의 감정 부재와 상실에 대한 무라카미 하루키의 철학과 공명하며, 우리에게 감정의 중요성을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아이가 그린 듯한 드로잉 구성을 통해 간단한 형상과 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는 구겨진 종이와 드로잉의 물성에 감성을 담아내며, 감정 부재 속에도 예술이나 창의성을 통해 새로운 표현을 찾고자 하는 욕구를 나타낸다. 

하얀 종이 위의 눈에 띄는 색을 지닌 종이테이프를 볼 수 있는데, 종이테이프는 일시적으로 물체를 고정할 때 사용되곤 한다. 하지만 강력한 고정이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지 떨어 질 수 있으며, 이는 불안정성과 불안감을 상징한다. 각 색상마다 드로잉의 전체적인 의미를 상징하게 되는데, 빨강은 열정과 꿈, 핑크색은 사랑, 노랑색은 희망과 긍정, 초록은 안정, 파랑은 슬픔과 우울함에 대한 내용으로 작품에 대한 전체적인 의미를 간접적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상징성들은 작품의 컨셉과 의도, 관람자가 작가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현대의 소통은 상용의 편리화 그리고 개인화가 되어가면서 종종 물리적인 소통의 부재로 이어진다. 쪽지나 종이에 대한 감정적인 체온 전달이 구겨진 종이와 드로잉을 통해 감정을 물리적인 형태로 드러내는 동시에, 소통의 부재로 느껴지는 상실과 감정의 중요성에 대한 철학적인 물음을 제기한다. 이는 현대의 빠른 소통과 표면적인 연결성 속에서 감정의 진솔한 소통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새롭게 생각하게 한다.  

작품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에서 나타나느 소외와 상실에 대한 철학을 현대의 감정의 부재와 연결시키며, 예술을 통해 이러한 상태에 대한 진지한 고찰을 이끌어 낸다. 구겨진 종이와 그 위에 그려진 드로잉은 우리에게 감정의 미학과 소통의 필요성을 다시금 상기시키는 작업으로, 현대사회에서의 감정의 소중함에 대한 깊은 생각을 유발한다. 
다니엘 신

NOTE (ENG)

This artwork draws inspiration from Haruki Murakami's "The Age of Loss," exploring a philosophical contemplation on the contemporary absence and alienation of emotions. The crumpled paper serves as a natural representation of forgotten and discarded states, reflecting a aesthetic expression. The drawing, reminiscent of a child's simplicity, encapsulates a pursuit of beauty preserved amid emotional alienation, anxiety, and confusion, echoing Murakami's philosophy.

The act of smoothing out the paper, depicted in the piece, symbolically suggests how aesthetic beauty can be found despite emotional absence and loss. The crinkled paper's traces and the unfolded beauty resonate with Haruki Murakami's philosophy on alienation and loss in contemporary times, prompting us to reconsider the significance of emotions. The drawing, with its childlike simplicity, conveys emotions through basic shapes and lines, expressing the desire to find new forms of expression through art and creativity, even within emotional absence.

The conspicuous colored paper tape on the white paper holds significance. While paper tape is typically used temporarily to fix objects, its lack of strong adhesion symbolizes instability and anxiety. Each color represents a broader meaning within the drawing: red symbolizes passion and dreams, pink represents love, yellow signifies hope and positivity, green denotes stability, and blue conveys sadness and melancholy. These symbolic elements indirectly convey the overall meaning of the artwork, subject to various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concept, intention, and the viewer's interaction with the artist.

In a contemporary context, communication often evolves into convenient commercialization and personalization, leading to a lack of physical interaction. The emotional warmth conveyed through notes or paper is visually expressed through crumpled paper and drawing, prompting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the importance of emotions. This artwork serves as a serious contemplation of Haruki Murakami's philosophy of loss and alienation in the modern age, using art to provoke profound reflections on the value of emotions in contemporary society.
-Daniel Shin

서서히 
< Arty x 다니엘 신 > 팩토리얼 성수 라운지

작업노트 (KOR) 

“서로 다른 선들이 어우러지는 모습을 통해 우리가 사는 세상을 그려 나간다. 그려낼 때마다의 각 형태들은 서로 다른 존재감을 드러내는데, 마치 서로 다른 우리가 어우러져 세상을 이루어 나가는 듯 하다” 

 팩토리얼 성수의 스페이스 클릭은 “미완에서 완”이라는 공감개념을 담고 있다. 작가 다니엘 신의 ‘서서히’ 는 ‘점선이 하나씩 쌓이고 쌓여 새로운 결과를 만들어내고 그렇게 계속 이어져 나간다’는 내용의 벽화와 회화 작품으로 구성된다. 

스페이스 클릭의 라운지는 사람과 사람의 만남이, 아이디어와 아이디어의 교류가 이뤄지는 공간으로, 사람 의 만남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그에 따른 성공적인 사업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교류의 장이라는 점에서 작품과 공간이 서로 닮아 있다. 

‘서서히’의 하나 하나의 선은 공간을 이용하는 서로 다른 우리의 모습을 담고 있고, 그 선 들의 조우와 연장 은 공간안에 스며들어, 작가가 말하는 ‘서로 같이 혹은 다르게 어우러져 나가는 세상‘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ARTY

NOTE (ENG)

"The world we live in is depic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lines. Each form reveals a different existence, as if we are combining to create a world."
Factorial Seongsu's Space Click contains the concept of empathy, "from incomplete to complete." Artist Daniel Shin's "Slowly" consists of murals and paintings that say, "Dotted lines pile up one by one, create new results, and continue to do so."

Space Click's Lounge is a space where people meet and exchange ideas and ideas, and the work and space are similar in that people meet is a creative idea and a place of exchange that can lead to successful business performance.

Each line of "Slowly" contains different images of us using the space, and the encounters and extensions of the lines permeate the space, expressing what the artist calls a "world that blends together or differently."

ARTY

CHECKER BOARD

작업노트 (KOR) 

"체커보드"를 통한 작업은 현실의 이분법적 사고에 대한 비판과 함께, 개인의 다양성과 행복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철학적인 사유를 담고자 한다.
​
이 작업은 현대 사회에서 자주 나타나는 이분법적 사고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이분법적 사고는 모든 것을 좋다 싫다, 옳다 틀리다로 간소화하는 경향이 있어, 그 결과로 다양성과 개성이 희생되곤 한다. 이것은 헤겔의 '주인공과 종복'에 관한 철학적인 영감을 받게 되었다.
​
헤겔은 주인공과 종복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은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완성해 나간다고 주장했다. 이 작업에서의 스티커가 체커보드에서 벗겨져 나가는 것은 각자가 고유한 색과 개성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헤겔의 주인공과 종복 간의 상호작용에서 나온 철학적인 개념과 유사성을 가지고 보았다.
​
또한, 여러 색과 스티커를 활용하여 다양성을 강조하면서, 여러 가지 개념을 갖고 있는 현실에서의 복잡성을 나타내고자 한다. 이는 니체의 '모두다 다르다(Individualization)'라는 개념과도 일맥상통할 수 있다. 작품은 각 개체가 자신만의 독특한 가치를 가지며, 단일적이고 일방향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다양성을 수용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
​
이처럼 "체커보드"를 통한 작업은 현대 사회의 단일적인 사고에 대한 비판과 함께, 다양성과 개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개인과 사회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철학적인 고찰을 담고 있다.
다니엘 신

NOTE (ENG)

The artwork involving the "checkerboard" encapsulates a philosophical contemplation on dualistic thinking prevalent in contemporary society, coupled with a critique of dichotomous thought patterns. 

It also explores the human essence of seeking diversity and happiness.This piece raises questions about the dualistic thinking often observed in modern society, where everything tends to be simplified into binary opposites of good and bad, right and wrong, ultimately sacrificing diversity and individuality. 

This might be related to Hegel's philosophical ideas on 'master and slave.'Hegel argued that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ster and the slave, individuals discover and complete themselves. In this artwork, the interpretation of stickers peeling off the checkerboard could be seen as a process where individuals seek their unique colors and personalities. This echoes Hegel's philosophical concept of interaction between the master and the slave.

Moreover, the artist utilizes various colors and stickers to emphasize diversity and aims to depict the complexity of reality, where multiple concepts coexist. This can align with Nietzsche's concept of 'individualization,' emphasizing the uniqueness and value of each entity. The artwork conveys a message advocating for embracing diversity, urging individuals to move away from simplistic and unilateral thinking.

In this way, the "checkerboard" artwork not only criticizes the monolithic thinking prevalent in contemporary society but also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diversity and individuality. It serves as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Daniel Shin

THE LINE

작업노트 (KOR) 

작품은 다양한 색과 선으로 삶과 감정에 대한 아름다운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이 작품은 더 깊은 의미를 담기 위한 작업의 흐름을 담은 노트이다.
​
작품을 살펴보면, 다양한 색으로 그려진 선들이 우리의 감정과 삶의 복잡한 향방을 나타내고 있다. 각 색상은 특정한 감정을 상징하며, 선들은 서로 교차하고 어우러지면서 감정의 흐름과 인간관계의 복잡성을 묘사한다.
​
빨간 선은 열정과 사랑을 상징하며, 파란 선은 평화와 안정을 나타낸다. 이러한 감정의 다양성은 서로 다른 색들과 선들이 만나면서 삶의 풍부한 경험과 다양성을 형성한다.
​
선들이 만들어내는 교차와 얽힘은 우리의 삶과 인간관계에서의 상호작용을 상징한다. 서로 다른 선들이 만나면서 새로운 색이 형성되듯, 서로 다른 사람들과의 만남이 우리에게 새로운 경험과 관계를 선사한다.
​
또한, 밝고 환한 색으로 그려진 선들은 행복과 긍정적인 감정을 나타낸다. 이러한 선들이 작품 전체에 균형잡힌 방식으로 퍼져 나가는 것은 행복이 감정과 관계들과 깊게 연관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
이 작품은 우리의 삶과 감정, 그리고 주변과의 관계에 대한 다층적인 사유를 불러일으킨다. 선과 색의 아름다운 표현을 통해 작가는 우리의 다양한 감정과 경험, 그리고 사람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을 감각적으로 담아내었다. 

이를 통해 관람자들은 작품을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되고, 다양성과 연결성이 함께 어우러져야 하는 삶의 아름다움을 깨닫게 될 것이다.
다니엘 신

NOTE (ENG)

The artwork unfolds a beautiful narrative about life and emotions through various colors and lines. This note captures the artistic process aiming for deeper meanings.
​
Examining the artwork reveals a depiction of the complexities of emotions and the trajectory of life through diverse colors and lines. Each color symbolizes specific emotions, while the lines intersect and intertwine to portray the flow of emotions and the intricacies of human relationships.
​
The red lines symbolize passion and love, while the blue lines represent peace and stability. The diversity of emotions formed as different colors and lines converge creates a rich tapestry of experiences in life.
​
The crossings and entanglements of the lines symbolize the interactions in our lives and relationships. Similar to how different lines meeting create new colors, encounters with different people bring about new experiences and relationships for us.
​
Furthermore, the bright and vibrant colors of the lines depict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s. The balanced spread of these lines throughout the entire artwork conveys the deep connection between happiness, emotions, and relationships.
This artwork provokes multifaceted reflections on our lives, emotion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 the expressive combination of lines and colors, the artist sensually encapsulates the diversity of our emotions, experiences, and the organic connections between people.
​
As viewers engage with the artwork, they are prompted to reconsider their lives from a new perspective and appreciate the beauty of life, where diversity and connections intertwine harmoniously.
-Daniel Shin

행복한 지옥

작업노트 (KOR) 


행복한 지옥이라는건 존재할 수 없지만 나는 현재 그곳에서 살아가고 있다. 반쯤 감겨있는 초점 없는 눈은 이상과 현실의 중간 어딘가에 멈추어있는 내 시선을 의미한다.

꿈과 희망을 안고 출발한 내 삶은 기대와는 달리 아무것도 없는 존재가 되어버렸다. 아무것도 없다는 것은 좋을 이유도 나빠질 이유도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멈춰있다는 것은 현실에 있어서는 지옥을 뜻했다. 감정과 이성은 모순에 가득찼으며 현실과 이상 또한 괴리감이 생긴다.

하지만 행할 수 있다는 것은 삶의 의미에서 행복을 만들어 주었으며 누군가에게 사랑 받는다는 건 지친 삶에서 버틸 힘을 만들어 주었다. 원동력을 만들어주는 것은 그러한 의미들로 만들어진 에너지였다. 감사한 존재에 대해 보답하기 위해서 이성적인 신념이 생기고 더 좋은 작품을 만들어내기 위한 충분히 필연적인 이유가 되었다.

현재 나는 그런 삶을 선택했고 그곳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 아닌 그렇게 살아가는 것을 원하고 있다. 그런 나는 행복한 지옥에서 살고 있다. 지치고 힘든 삶 속에서도 내가 어떠한 이유에서 버티고 원동력이 되어 움직이고 있는지 또는 감사한 의미와 감정들을 잊어버리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다니엘 신

NOTE (ENG)

The artwork using the checkerboard aims to criticize the binary thinking prevalent in contemporary society and, simultaneously, encapsulate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the individual's diversity and pursuit of happiness.

This creation questions the binary thinking frequently encountered in modern society, simplifying everything into either good or bad, right or wrong, resulting in the sacrifice of diversity and individuality. This may find resonance with Hegel's philosophical concept of 'Master and Slave,' where individuals discover and complete themselves through interaction. In this artwork, the stickers peeling off the checkerboard can be interpreted as each person's journey to find their unique color and individuality, echoing Hegel's idea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ster and the slave.

Moreover, the artist, by utilizing various colors and stickers to emphasize diversity, seeks to represent the complexity inherent in reality, where multiple concepts coexist. This aspect can be related to Nietzsche's concept of 'Individualization,' advocating for each entity to possess its unique value and encouraging a departure from simplistic and one-dimensional thinking towards embracing diversity.

In summary, the "Checkerboard" artwork, using philosophical concepts, criticizes the simplistic thinking prevalent in contemporary society and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diversity and individuality in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Daniel Shin

취미

작업노트 (KOR) 

취미, 나만의 소리와 노래를 만들다. 그 음악은 긍정과 에너지로 넘쳐있어, 나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준다. 이 작품은 취미가 어떻게 우리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며,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 수 있는지를 탐험한다.

취미에서 싹트는 에너지는 마치 끊임없는 음악의 파도처럼 일상을 환하게 비추어준다. 미술, 스포츠, 음악, 혹은 어떤 취미든, 그것은 창의성과 열정을 자극하는 특별한 연주로, 작품에서는 이런 과정을 시각적으로 담아내고자 한다.긍정의 파동은 취미에서 특유의 음악을 통해 전파된다. 그 활동에 몰두함으로써 나만의 긍정적이고 창의적인 에너지를 발산하는 동시에, 주변과 소통하고 협력함으로써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한다. 

작품은 이러한 연쇄 반응을 그림으로써, 취미가 내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준다.취미와 철학은 서로 교차되어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든다. 취미는 우리에게 더 큰 즐거움을 선사하며 동시에 우리 스스로와 다른 이해를 도모하게 한다. 작품은 이러한 철학적 풍요로움이 취미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

작품은 마치 취미가 내 삶에 한 장의 아름다운 음악을 연주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다양한 색과 형태로 취미의 다양성과 풍요로움을 표현하며, 각각의 세부 요소가 하나로 어우러져 아름다운 향연을 이루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취미가 우리의 삶에 가져다주는 긍정과 에너지를 통해 어떻게 더 풍요로운 삶을 창조해 나갈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다니엘 신

NOTE (ENG)

The energy emanating from hobbies is like an endless wave of music, illuminating daily life. Whether it's art, sports, music, or any hobby, it acts as a magical tool stimulating creativity and passion. 

This piece visually depicts how hobbies awaken inner energies and inject a renewed vitality into our lives.The ripple effect of positivity spreads uniquely from hobbies. Immersing oneself in a particular activity not only radiates individual positive and creative energy but also fosters positive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e artwork illustrates this chain reaction, showcasing how the positive influence of one person can impact others.

The intersection of hobbies and philosophy is highlighted. Hobbies make our lives richer and concurrently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ourselves and others. Through this, the artwork conveys the philosophical serenity achievable through hobbies, allowing us to become better individuals and form deeper human connections.

The artwork feels like a festival of hobbies, as if hobbies are playing a continuous melody of energy and positivity in my life. Using various colors and forms to express the diversity and richness of hobbies, each element harmoniously combines to create a beautiful symphony.

This piece, from my perspective as a creator, delves into how hobbies bring positive effects to our lives, infusing them with vitality and enriching our existence. It resembles a unique melody flowing through my life.

-Daniel Shin

STRIPE

작업노트 (KOR) 

"스트라이프 시리즈"는 내가 바라본 장면들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빛번짐이라는 상징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삶과 인간관계의 어우러짐을 긍정적으로 묘사했다.
​
이 작품은 나만의 시각으로 바라본 독특한 경험과 감정을 담아내고 있다. 스트라이프로 표현된 장면들은 추상적이면서도 명확한 형태를 띠고 있어, 나만의 감성과 세계를 고스란히 담아내었다. 빛번짐은 이러한 감성을 한층 더 부각시켜 작품의 중요한 측면을 형성하고 있다.
​
빛이 번지는 표현은 삶과 인간관계의 어우러짐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각 스트라이프가 서로 다른 길로 뻗어나가면서, 마치 삶의 다양성과 인간관계의 미묘한 복잡성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다채로운 향연을 이루고 있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이 추상적인 표현은 독특한 시각을 통해 삶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다.
​
빛번짐이 긍정적인 내용으로 이해되는 이유는, 작품 내의 각기 다른 스트라이프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하나의 조화로운 표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서로 다른 색과 형태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면서, 마치 삶의 다양성과 사람들 간의 관계가 어떤 어려움을 극복하며 조화로운 하나로 통합되는 모습을 상징하고 있다.
​
이 작품을 통해 나만의 시각과 감성을 표현하면서도 긍정적인 메시지를 담아, 관람자에게 다양성과 조화가 함께 어우러져야 하는 삶의 아름다움을 전하고 있다. 빛번짐은 그 다양성과 조화의 핵심을 상징하는 요소로 작품 내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다니엘 신

NOTE (ENG)

The "Stripe Series" is an artwork that abstractly portrays scenes from my perspective, utilizing the symbolic element of light diffusion to positively depict the intertwining of life and human relationships.
​
This piece encapsulates my unique vision and emotions, using stripes to artistically represent scenes with abstract yet distinct forms. The play of light further accentuates these emotions, becoming a pivotal aspect of the artwork.
​
The depiction of light spreading symbolizes the convergence of life and human relationships. Each stripe extends in different directions, creating a sense of diverse dynamics and harmonious interplay, portraying the intricacies of life's diversity and the subtle complexities of human connections. This abstract representation conveys the artist's unique interpretation of life's beauty.
​
The reason why the diffusion of light is interpreted as a positive element lies in the harmonious fusion of diverse stripes within the artwork. Different colors and forms harmonize, symbolizing the overcoming of challenges in life and the unification of diverse relationships into a harmonious whole.
​
Through this artwork, the artist expresses their individual perspective and emotions while delivering a positive message to the audience, emphasizing the beauty of life that arises when diversity and harmony coalesce. The diffusion of light serves as a symbolic element, representing the core of diversity and harmony within the artwork.
-Daniel Shin

LOVE PROJECT

작업노트 (KOR) 

"Love Project"는 사랑이라는 강력하고 다양한 감정의 본질을 탐구하며, 이를 통해 우리 모두가 공유하는 인류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하는 작업입니다. 연인 간의 사랑 뿐만 아니라 친구, 동료, 가족, 그리고 인류애에 이르기까지 모든 형태의 사랑을 담아내어, 우리가 사랑을 느끼는 다양한 방식과 그 의미를 깊이 이해하도록 격려하고자 한다.

작품은 다양성의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연인 간의 애정에서부터 시작하여 친구와의 우정, 동료와의 협력, 가족 간의 끈끈한 유대, 심지어는 인류 전체에 대한 애정까지를 담고 있다. 이 다양성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며, 서로 다른 관계에서 발생하는 감동과 아름다움을 묘사한다.

사랑의 힘에 주목하는 작업은 사랑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더 나아가 세계를 바꿀 수 있는 역동적인 힘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는 개인적인 관계에 머물러 있지 않고, 사회적, 세계적인 차원에서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영역으로 작품은 사랑이 희망과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가능성을 강조한다.

인류애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작업은 인류애가 우리가 공유하는 인간적인 가치라는 점을 강조하며, 서로를 이해하고 지지하는 데에 필수적이라고 제시한다. 작품은 이러한 인류애가 세계를 더 조화롭게 만들 수 있는 열쇠임을 강조하여, 우리가 모두 함께 사는 이 지구에서 서로를 존중하고 도우며 성장하는 방법을 하고자 한다.

예술의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는 작품은 감정과 이해를 공유하는 예술의 힘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작품을 통해 우리는 서로 다른 경험과 감정을 공유하며, 더 깊은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예술이 사랑과 이해를 촉진하는 강력한 매개체임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우리 모두가 더 풍부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영감을 주고자 한다.

"Love Project"는 나 자신과 모든 이에게 사랑의 다양성과 인류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여, 서로를 더 깊이 이해하고 사랑하는 법을 배우며, 결국에는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다니엘 신

NOTE (ENG)

"Love Project" is an endeavor to explore the essence of the powerful and diverse emotions of love and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shared humanity that we all possess. Going beyond the love between romantic partners, the artwork encapsulates various forms of love, including friendships, collaborations with colleagues, familial bonds, and even extending to a love for humanity. The intention is to encourag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ways we experience and perceive love.

The piece emphasizes the beauty of diversity, portraying not only the affection between romantic partners but also the richness found in friendships, cooperation with colleagues, strong family ties, and even an overarching love for humanity. This diversity enriches our lives, illustrating the emotions and beauty that arise in different relationships.

Focusing on the power of love, the artwork observes how love can transform our lives and act as a dynamic force capable of changing the world. This influence is not limited to personal relationships but extends to societal and global dimensions. The piece underscores the potential of love to bring hope and chang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universal love, the work emphasizes that humanity shares common values. It suggests that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each other are essential components of universal love. The artwork emphasizes that universal love can be a key to creating a more harmonious world, offering suggestions on how mutual respect, assistance, and growth can occur on this shared Earth.

Emphasizing the role of art as a mediator, the piece underscores the power of art in sharing emotions and understanding. Through the artwork, people can share different experiences and emotions, fostering deeper connections. The artwork showcases how art serves as a powerful medium for promoting love and understanding, inspiring everyone to live a more enriched life.

"Love Project" aim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diversity of love and universal love for oneself and others. Through understanding and learning how to love each other more deeply, the artwork ultimately aspires to contribute to making the world a better place for everyone.
-Daniel Shin

자연물

작업노트 (KOR) 

"자연물"이라는 작품은 길을 가다 우연히 발견한 어두움 속에서 피어난 꽃에서 영감을 받아 시작된 작업이다. 이 작품은 나 자신이 아무 의미가 없는 존재로 느껴졌던 때를 떠올리면서, 그것이 누군가에게는 가치 있는 존재가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

여러 가지 사소한 순간들 중에서 우연한 만남은 종종 가장 아름다운 영감을 준다. 이 작품도 그런 우연한 경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어둠 속에서 피어난 꽃은 마치 숨겨진 보석처럼 나를 놀라게 했고, 이 아름다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게 되었다.

작품은 내가 아무 의미가 없던 존재로 느껴졌던 나 자신을 통해 누군가에게는 가치 있는 존재가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 꽃이 어둠에서 피어나듯이, 어떤 상황에서도 우리는 누군가에게 희망과 아름다움을 전할 수 있다는 생각에 영감을 받았다.

이 작품은 존재하는 것의 의미를 탐구하면서, 가치는 개인의 시선과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관념에 주목한다. 어두운 상황에서 빛을 발하는 꽃은 이런 다양성을 상징하며, 가령 나와 같이 아무 쓸모 없어 보이던 것도 어떤 이에게는 소중한 보물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자연물"은 감정과 가치의 상대성에 대한 사색을 통해, 우리가 자신의 일상에서 어둠에서 빛을 찾을 수 있고, 그 속에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는 희망을 전하고자 한다. 이 작품은 우연한 발견에서 비롯된 아름다움이 어떻게 우리의 존재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지를 감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다니엘 신

NOTE (ENG)

The artwork titled "Natural Invention" originated from an inspiration found in a flower that unexpectedly bloomed in the darkness during a stroll. Reflecting on a time when I felt like a meaningless existence, this piece aims to convey the message that even something seemingly insignificant can hold value for someone else.
​
Among various mundane moments, chance encounters often provide the most beautiful inspiration. This artwork, too, emerged from such a serendipitous experience. The flower blooming in the darkness surprised me like a hidden gem, offering me a new perspective on beauty.
​
The piece seeks to communicate the message that, just as the flower blooming in the darkness, we can bring hope and beauty to someone in any situation. Through my own experience of feeling like a meaningless existence, the artwork encourages the idea that one's value can be significant for someone else.
​
Exploring the meaning of existence, the artwork draws attention to the idea that value can vary based on individual perspectives and viewpoints. The flower radiating light in a dark situation symbolizes this diversity, emphasizing that something seemingly useless, like my own perceived lack of significance, can become a precious treasure for someone.
​
"Natural Invention" engages in a contemplation of the relativity of emotions and values, expressing the hope that we can find light in the darkness of our everyday lives and discover meaning within it. The artwork visually conveys how beauty arising from serendipitous discoveries can imbue significance into our existence.
-Daniel Shin

패턴 시리즈

작업노트 (KOR) 

어렸을때부터 살아가는 것에 대한 의미가 궁금했다. 왜 살아가야만하고 왜 죽으면 안되는지. 삶은 무엇이고 사람들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암울한 살지도 남들보다 우월하게 살아오지도 않았음에도 나에게는 항상 삶에 대한 의구심이 들었다. 삶과 감정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 싶었던 나는 궁금증을 그림을 통해 찾아가고자 하였다.삶은 수 많은 감정과 관계들로 이어진 장면들의 연속임과 동시에 처음과 끝이 존재한다. 그 안에 시간이라는 것은 결과가 좋고 나쁘고를 떠나 어딘가로의 방향성이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사라져가는 시간 속에 담긴 우리가 느꼈던 감정 그리고   함께 살아가는 것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기록하고 싶어졌다.

패턴 직물에서 영감을 받아 작업하기 시작하였다. 체크 패턴이 수직과 수평으로 교차하면서 서로 다른 색이 교차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직 기술을 면밀히 보다보니 우리가 사는 세상과 닮아있다고 생각 하였다. 수 많은 올들이 선과 면들을 만들어 내는데, 이 안에는 한 올도 무척이나 중요한 요소가 된다. 체크라는 패턴을 이루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은 요소가 없다. 나의 삶 조차도 그러하기를 바라고많은 사람들도 의미있고 가치있는 삶을 살기를 전하고자 작업화 하였다. 나에게 패턴이란 시각적인 반복적인 패턴의 형태들도 있겠지만 행동의 패턴도 하나의 패턴으로 사용하고 있다.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조금 더 강조하여 의미를 전달하고자 한다.
​
  서로 다른 선들이 어우러지는 모습을 통해 우리가 사는 세상을 그려나간다. 그려낼 때마다의 각 형태들은 서로 다른 존재감을 드러내는데, 마치 서로 다른 우리가 어우러져 세상을 이루어 나가는 듯 하다. 이러한 선들이 그저 평면으로 붓이 지나간 자리 보다 조금 더 입체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졌으면 하는 생각에 목업물로 드러내기 시작했다. 컷팅을 통하여 스트로크로 남을 수도 있는 형태들이 아닌그 자체만으로 독립적인 형태화가 되었으면 하였다. 면의 요소를 가진 동시에 하나의 선이 되는 것이다. 입체가 된다면 관람을 할때에 좌우상하로 보는 시간이 생기면서 선 자체가 시간을 담아낸 의미도 있지만 보는 사람들로도 하여금 시간을 읽어내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작업으로 들어서면서 선을 에너지에 대한 상징적 의미로 그려내기 시작하면서 직선이 아닌 곡선을 통해 율동성을 담아내기 시작하게 되었다. 외부에서 발견한 관찰의 대상에서 점차 내면과 미시적 시점으로 바뀌게 되면서 내가 생각하는 삶에 대한 관점 그리고 현재 느끼는 감정과 관찰의 대상들을 표현하게 되는 과정에 있다. 그 안에서 다양한 선의 변화, 입체, 표현의 방식의 변화로 다양한 시도들을 하고 있으며 단조로운 하나의 시리즈의 연속이 아닌 현재마다의 생각과 시선들을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풀어내고자 한다.
​
선이라는 것은 점에서 점으로 이동한 것에 대한 기록이다. 그 안에는 어떠한 에너지와 에너지를 쏟아내는 동안의 시간이 기록되어 진다.  인간은 선적인 요소들을 통해 인지를 하고 선적인 요소들을 활용하여 세상을 일구어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개인적으로 선이라는 것은 나라는 사람이 살아있었다라는 하나의 흔적과 기록으로 사용된다. 순수한 나의 에너지가 온전히 담겨있고 그것이 작품으로 남겨져 누군가에게 작은 생기라도 전해지기를 바라는 기록이다. 삶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살아있다라는 자체만으로도 가치있고 의미있었던 순간이 되어지기를 바라며, 우리의 감정과 흔적들은 너무나 소중하고 누군가는 그 흔적들로 인해 살아가게 되는 우리의 삶의 패턴을 전달하고 싶었다.   
다니엘 신

NOTE (ENG)


I was curious about the meaning of living since I was young. Why do we have to live and why don't we die. What life is and what it means to live with people. I always had doubts about my life even though I had neither lived in a dark life nor lived superior to others. I wanted to talk about life and emotions, so I tried to find out my curiosity through pictures.

Life is a series of scenes that lead to countless emotions and relationships,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beginning and an end. Time in it means that the direction is set somewhere, regardless of whether the result is good or bad. I wanted to record the feelings we felt in the disappearing time 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living together.

Inspired by pattern fabrics, I started working. As the check pattern intersect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different colors intersect, and looking closely at this textile technology, I thought it looked like the world we lived in. Countless strands create lines and faces, within which each strand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ere is no element that is not necessary to achieve the pattern of checks. I hope even my life will be like that
Many people also worked on it to convey a meaningful and valuable life. For me, there are forms of visual repetitive patterns, but I also use patterns of behavior as a pattern. I would like to convey the meaning by emphasizing what I want to say through repetitive actions.

It depicts the world in which we live through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lines. Each form of each painting reveals a different presence, as if different us are combining to form a world. I started to expose these lines as a woodwork because I wanted them to be accepted in a more three-dimensional sense than the place where the brush passed by in a plane. It's not a form that can remain as a stroke through cutting
It was hoped that it would become an independent morphology by itself. It has elements of the face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a line. If you become a three-dimensional person, you will have time to watch it from left to right, up and down, and the line itself has the meaning of capturing time, but it is also for the viewers to read the time.

A line is a record of moving from point to point. Within it, any energy and the time during which it is poured out is recorde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humans have recognized through the elements of shipping and have built the world using them. Personally, good is used as a single trace and record that I was alive. It is a record that contains my pure energy and hopes that it will be left as a work and delivered to someone even a small life. I'm not trying to define life. We hope that being alive itself will be a valuable and meaningful moment, and our emotions and traces are so precious that we wanted to convey the pattern of our lives that someone lives by those traces.
-Daniel Shin